본문 바로가기

도시계획체계2

도시정비사업의 개요 및 사업방식 구분 도시계획 체계 및 정비계획[표1 : 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계획 체계도]구분광역도시계획개요도시의 확산, 연담화로 인해 광역적 도시문제가 발생, 개별도시계획 차원에서 문제해결이 힘들다고 판단되어 광역계획권 설정수립권자입안권자국토해양부장관, 2이상의 인접의 시,군 행정구역장의 요청내용광역계획권의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함.▼구분도시기본계획개요국토의 안정된 자원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장기적인 정책방향과 공간계획을 제시하기 위해 수립된 계획수립권자입안권자시장, 군수정비기간20년마다 수립(10년마다 정비)내용지역의 특성 및 계획의 방향, 목표에 관한 사항▼구분도시관리계획개요시 또는 군의 개발, 정비 및 보전을 위하여 수립하는 토지이용, 교통, 환경 등의 계획수립권자입안권자시장, 군수정비기간10년마다.. 2025. 10. 23.
한국 건설산업의 이해 및 도시계획제도와 특징 시대별 한국 건설산업의 이해1. 시대별 건설 산업의 구분 1) 해방 이후 '50년대 : 전후 복구 시기로서 비계획적 시가지 확장 형태의 도시개발 및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한 환지방식사업 위주 2) '60년대 : 공업화 및 경제개발정책의 본격가동과 더불어 현대적 의미의 신도시 최초 건설 (개발사례 : 광주대단지(성남), 영동지구 및 여의도 등) 3) '70년대 : 중화학공업 육성정책에 따라 임해공업지역(臨海工業地域)에 산업기지도시 건설 및 신공업도시인 창원(인구 30만) 계획 때 신도시라는 용어 사용 (개발사례 : 대덕연구학원도시, 창원과 여천 공업도시, 구미공단 배후도시, 서울강남 신시가지, 과천과 반월 등) 4) '80년대 : 목동과 상계동에 주택중심의 도시내 신도시(Newtown in town) .. 2025. 10. 22.